류마티스 관절염
본문 바로가기

질병정보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이다. 우리 몸의 뼈와 뼈 사이에는 연골이 있고 활막과 활액이 둘러싸 연골을 보호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이상을 일으킨 면역세포가 활막을 공격해 지속적인 염증을 발생시키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활막에 생긴 염증은 점차 주위의 연골과 뼈로 번지고 결국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한다.

 

면역성의 이상으로 생긴 류마티스 관절염은 완치가 불가능한 병이다. 류마티스 환자는 평생 면역력관리와 약물치료로 증세를 완화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 치료제, 면역 조절제를 투여하면 상태가 많이 좋아진다. 하지만 치료시기를 놓치면 관절이 변형되는 관절이 변형된 것과 관련해서는 의학적 방도가 없으므로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류마티스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는데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목할 것은 방치하거나 치료가 늦어진 경우에 각종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2배 이상 높아 류마티스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Seminars in Arthritis and Rheumatism 2014)

  

류마티스 관절염은 치료와 함께 식이조절, 스트레스관리, 운동도 중요하다. 특히 운동은 면역상태를 개선시켜 류마티스 관절염 자체가 심해지지 않도록 하는 완화효과가 있어 면역기능을 회복시켜 준다. 또 운동을 하게 되면 근력이 세져서 관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운동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효과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